영어 머리글자를 따서 '아이오티(IoT)'라 약칭하기도 한다. 이 용어는 1999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ID Center) 소장 케빈 애시턴(Kevin Ashton)이 향후 RFID(전파식별)와 기타 센서를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사물에 탑재한 사물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시장분석 자료 등에 사용되면서 대중화되었다.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한다.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나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통신장비와 사람과의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유형의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각종 서비스 분야와 형태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거나 각종 기술을 융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핵심이며, 대량의 데이터 등 사물 인터넷 구성 요소에 대한 해킹이나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술'도 필수적이다.

키를 가지고 접근하면 자동차 문의 잠금 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고 키를 꽂지 않아도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키', 전기·가스 또는 상하수도를 포함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그리드' 등이 이미 일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IoT)] (두산백과)

 

 

우리는 바야흐로 사물인터넷의 시대에 현재도 살고있기 시작했으며 앞으로도 더 진보된 사물인터넷의 시대를 살게될것입니다.

 

사물인터넷이란 정확히 무엇이고, 사물인터넷에 관련되어서 정확히 알고 분석하고 생각하여 어디에다가 투자를 할지 생각해봐야합니다.

 

다시한번 설명하자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사물과 사물을 연결 혹은 사물과 사람의 연결을 통해 정보 및 상호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서비스를 말합니다. 즉, 사물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말합니다.

 

사물인터넷은 모든 기기에 적용가능하며 넓어질예정입니다.

 

스마트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 차를 원격으로 제어해서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능력입니다.

 

스마트홈 시스템 - 원격으로 집의 가스나 전기 조명 혹은 CCTV등을 관리할수있는 시스템입니다.

 

헬스케어 의료서비스 - 원격으로 의사가 진단 및 처방을 하는겁니다.

 

항상 미래 성장성을 봐야합니다. 스마트폰은 불과 몇년만에 1년단위로 해가 바뀔때마다 빠르게 진화해왔고 그만큼 성장성도 엄청났었습니다.

 

그걸 미리 캐치해내고, 투자를 하는것이 진정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시점이 나타날것으로 예상했고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에 투자를 하기위해서 은퇴를 번복했습니다.

 

세계 스마트폰용 반도체 설계의 90%이상 점유하고있는 ARM을 234억파운드를 들여서 인수했습니다.

 

삼성전자는 10월 초 미국의 인공지능 전문업체 비브를 인수했습니다.

 

내년 신작 스마트폰에 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할것이라고 예측되고있네요.

 

이제. 사물인터넷은 시작입니다.

 

스마트폰 외에 태블릿, TV, 가전제품등 모든 기기들을 연결시키고 제어하고 활용할것입니다.

 

항상 미래를 내다봐야합니다.

 

 

 

 

 

'IT > 사물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독] 사물인터넷 테마주 정리  (0) 2018.07.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