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술사입니다.
어제 올렸던 글을 이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 차트를 이용해서 대파동과 중파동 그리고 소파동을 통한 분석방법에 대해서 얘기를 해드렸습니다.
대 파동에 대해서는 분석을 해드렸고, 이제 중파동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 파동이란? 대 파동안에 포함되는 파동입니다.
예를 들어 쉽게 얘기하자면, 소 파동이 모이고 모여서 중파동을 이루고, 중 파동이 모이고 모여서 대 파동을 이룹니다.
코스닥 지수 차트를 통해서 한번 파동을 공부해보도록 할게요 ^^
최근의 대파동의 고점이었던 5월말 ~ 6월초의 고점을 먼저 보시길 바랍니다
보라색 선으로 표현되어있습니다. 그곳이 중파동의 첫번째 고점입니다. 그리고 7월초.
저점을 한번 형성해주고. 7월 중순에.다시 한번 고점을 만들어주죠.
고점 두개를 선으로 쭉 그어놓은것이 위의 보라색 추세선입니다.
7월 중순에 고점 2개를 선으로 그을수있겠죠.
그리고 저번에 유튜브강의로 올려드린. 마우스로 추세선을 쓱 옮기니 매수자리와 매도자리가 보인다.
기억나십니까?
마우스로 추세선을 쓱 옮기니 매수자리와 매도자리가 보인다 1부
https://cafe.naver.com/orangepbqnv/2432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7월 중순 고점이 2개찍힌 그날에, 추세선을 쓱 내려서 저점으로 옮깁니다.
그러면 우리는 7월 중순에 이와같은 선을 그을수있습니다.
대 파동의 저점 추세선(초록색 선) 그리고 중 파동의 고점 2개를 이은 고점 추세선을 밑으로 내려보니
보라색 저점 추세선이 생겼죠. 그 부근의 자리가 겹치는걸 볼수있습니다. 745포인트 근처네요.
그 지점에 수평 추세선을 그어보니까 작년 12월. 코스닥이 상승하기 이전에 조정을 주던 쌍바닥 지점과 맞닿은것을 볼수있습니다.
우리는 현재 중파동을 알아보기위해서 선을 그었습니다. 맞죠?
그런데, 어떤일이 벌어졌나요? 자연스럽게 대 파동의 저점 추세선과 겹치게되었죠?
그리고 또 지지와 저항의 자리와 겹치게 되었습니다. 한가지의 파동 사이클을 보다가, 더 큰 파동의 매수자리.
그리고 지지 저항의 매수자리까지 같이 나타나게 되었고 여러가지 매수자리가 겹치면 주가가 상승할 확률도 더 높아지는거겠죠.
상승할 확률이 더 높은 자리를 찾아내면, 비중베팅하라. 저번글에서 설명드렸죠?
그 이후 주가의 흐름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 7월 25일 주가는 거짓말처럼 정확히 그려넣은 선에 닿습니다.
그럼 우리는 3가지의 매수조건에 충족했기때문에, 매수를 했겠죠. 그리고나서 현재 어떻게 되었는지 볼까요?
2018년 8월 2일 현재 주가의 모습입니다.
대 파동의 하단에서 반등, 지지저항 자리에서 반등, 중 파동의 하단에서 반등. 한주간 멋들어지게 지수가 반등이 나온모습입니다.
항상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추어서 미래를 봐야하는게 주식하는 사람들의 숙명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대 파동에 대해서 분석을 했는데요. 이번에는 중파동으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 파동에서는 이번 반등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반등이라고 나왔었죠?
그럼 중파동에서 현재 위치는 고점 추세선에 바짝 붙어있는 모습입니다.
한번 차트로 보도록하겠습니다.
중파동의 고점 추세선에 거의 다다른 모습입니다.
그런데 저자리는 어떤자리죠? 대 파동을 한번 다시 기억해보시길바랍니다.
대 파동의 중간선의 자리와 거의 비슷하게 또 맞아들어가는 자리죠? 두가지의 추세가 가리키는 방향은 이렇습니다.
중파동은 고점 저항대부근, 대 파동은 중간부근 인거죠.
중 파동의 고점을 뜷고 올라가서 대파동의 고점으로 향할 확률이 높을까요?
아니면 중 파동의 고점과 대 파동의 중간지점의 저항을 맞고 주가가 단기적이든 장기적이든 떨어질 확률이 높을까요?
답은 정해져있습니다. 확률은 한가지를 가리킵니다.
다음편에는 소 파동에 대해서 써보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 지수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닥 지수를 추세와 파동으로 알아보자 1부 (0) | 2018.08.02 |
---|---|
11월 2일 코스닥 지수현황 (0) | 2016.11.02 |
코스닥 현재 지수 현황과 반등포인트 지지점 (2) | 2016.10.26 |
코스닥 급락합니다 현재 시황입니다. (0) | 2016.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