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술사입니다.


어제 올렸던 글을 이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 차트를 이용해서 대파동과 중파동 그리고 소파동을 통한 분석방법에 대해서 얘기를 해드렸습니다.


대 파동에 대해서는 분석을 해드렸고, 이제 중파동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 파동이란? 대 파동안에 포함되는 파동입니다.


예를 들어 쉽게 얘기하자면,  소 파동이 모이고 모여서 중파동을 이루고, 중 파동이 모이고 모여서 대 파동을 이룹니다.


코스닥 지수 차트를 통해서 한번 파동을 공부해보도록 할게요 ^^

 


최근의 대파동의 고점이었던 5월말 ~ 6월초의 고점을 먼저 보시길 바랍니다


보라색 선으로 표현되어있습니다. 그곳이 중파동의 첫번째 고점입니다. 그리고 7월초.


저점을 한번 형성해주고. 7월 중순에.다시 한번 고점을 만들어주죠.



고점 두개를 선으로 쭉 그어놓은것이 위의 보라색 추세선입니다.


7월 중순에 고점 2개를 선으로 그을수있겠죠. 


그리고 저번에 유튜브강의로 올려드린.  마우스로 추세선을 쓱 옮기니 매수자리와 매도자리가 보인다.


기억나십니까?


마우스로 추세선을 쓱 옮기니 매수자리와 매도자리가 보인다 1부


https://cafe.naver.com/orangepbqnv/2432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7월 중순 고점이 2개찍힌 그날에, 추세선을 쓱 내려서 저점으로 옮깁니다.


그러면 우리는 7월 중순에 이와같은 선을 그을수있습니다.


 


대 파동의 저점 추세선(초록색 선) 그리고 중 파동의 고점 2개를 이은 고점 추세선을 밑으로 내려보니


보라색 저점 추세선이 생겼죠. 그 부근의 자리가 겹치는걸 볼수있습니다. 745포인트 근처네요.


그 지점에 수평 추세선을 그어보니까 작년 12월. 코스닥이 상승하기 이전에 조정을 주던 쌍바닥 지점과 맞닿은것을 볼수있습니다.


우리는 현재 중파동을 알아보기위해서 선을 그었습니다. 맞죠?


그런데, 어떤일이 벌어졌나요? 자연스럽게 대 파동의 저점 추세선과 겹치게되었죠?


그리고 또 지지와 저항의 자리와 겹치게 되었습니다.  한가지의 파동 사이클을 보다가, 더 큰 파동의 매수자리.


그리고 지지 저항의 매수자리까지 같이 나타나게 되었고 여러가지 매수자리가 겹치면 주가가 상승할 확률도 더 높아지는거겠죠.


상승할 확률이 더 높은 자리를 찾아내면, 비중베팅하라.  저번글에서 설명드렸죠?


그 이후 주가의 흐름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 7월 25일  주가는 거짓말처럼 정확히 그려넣은 선에 닿습니다.


그럼 우리는 3가지의 매수조건에 충족했기때문에, 매수를 했겠죠. 그리고나서 현재 어떻게 되었는지 볼까요?



 


2018년 8월 2일 현재 주가의 모습입니다.


대 파동의 하단에서 반등, 지지저항 자리에서 반등, 중 파동의 하단에서 반등.  한주간 멋들어지게 지수가 반등이 나온모습입니다.


항상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추어서 미래를 봐야하는게 주식하는 사람들의 숙명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대 파동에 대해서 분석을 했는데요. 이번에는 중파동으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 파동에서는 이번 반등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반등이라고 나왔었죠?


그럼 중파동에서 현재 위치는 고점 추세선에 바짝 붙어있는 모습입니다.


한번 차트로 보도록하겠습니다.


 


중파동의 고점 추세선에 거의 다다른 모습입니다.


그런데 저자리는 어떤자리죠?  대 파동을 한번 다시 기억해보시길바랍니다.


대 파동의 중간선의 자리와 거의 비슷하게 또 맞아들어가는 자리죠? 두가지의 추세가 가리키는 방향은 이렇습니다.


중파동은 고점 저항대부근, 대 파동은 중간부근 인거죠.


중 파동의 고점을 뜷고 올라가서 대파동의 고점으로 향할 확률이 높을까요?


아니면 중 파동의 고점과 대 파동의 중간지점의 저항을 맞고 주가가 단기적이든 장기적이든 떨어질 확률이 높을까요?


답은 정해져있습니다. 확률은 한가지를 가리킵니다.


다음편에는 소 파동에 대해서 써보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마술사입니다


어느덧 7월이 훌쩍 지나갔습니다.


최근에 몸이 많이 좋지않아서, 카페나, 유튜브 활동을 전혀 못하다시피 하고있습니다.


밖으로는 무더위에, 시장상황은 7월달이 최악이었죠 ^^


정말 무덥다 보니까, 감기도 걸렸다가, 더위도 먹었다가 그러고 있네요.


무더위에, 휴가철에, 좋지않은 시장상황과 경제지표가 현 상황을 말해주고있네요.


다들 계좌는 무탈하신지 모르겠네요.


7월달 모바일 무료리딩 남아있던 종목들중에 에이디칩스와 아이컴포넌트가 매도되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나머지 종목도 체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 지수에 대해서 먼저 얘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승파동이 끝나고 하락파동이 시작된지 두달째입니다.


지금 현재 코스닥은 하락파동 내에 속해있지만, 그 하락파동을 뛰어넘어 다시 상승으로 돌아설지,


아니면 다시 하락파동이 더 이어질지 기로에 서있습니다.



코스닥 지수를 보겠습니다.


 



현재 국면을 3개의 파동으로 구분해 보았습니다.


가장 큰 추세선이 대 파동 그다음 중간 추세선이 중 파동 가장 작은 추세선을 소 파동으로 부르겠습니다.


가장 큰 추세선을 보시게 되면 완만하게 하락하는 사각형을 만들고있는데요.2018년 1월, 그리고 현재 저점을 찍고


중간 지점까지 반등을 한 모습이 보이실텐데요.


고점은 4월과 6월 으로 추세선이 이어져있습니다.  대 파동의 관점으로 보았을때에 현재 지수는 바닥을찍고 상승하다가


중간즈음 와서 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입니다.


 



보기 편하시게 표시를 했습니다.


파동은 추세로 이해를 할수있는데요. 이 파동이, 이 추세가 현재. 하락했다가 바닥을 딛고 올라오는 과정인지,


상승했다가, 저항을 맞아서 내려오는 과정인지, 혹은 상승했다가 저항을 돌파하고 다시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형국인지를


현재 어떤 위치, 어떤 자리에 존재하고있다는것을 안다는것만으로도 포지션을 취하는데 유리해집니다.


포지션을 취한다는 의미는. 지금 구간이 강매수구간인지,약매수 구간인지 판단해야한다는겁니다. 매수를 하는데에 있어서,


자신이 가진 예수금의 몇퍼센트를 투자할지 정하고 매매를 해야한다는 겁니다.  지금 추세가 하락인데, 떨어질것이 뻔한데.


강매수 구간이라고 판단하고 자신이 가진 예수금의 30~50%를 매수를 하게되면. 불행중 다행이 아니라. 


불행 중 불행이 되는겁니다.


파동과 추세를 이해를 하게 된다면,


추세가 하락인데, 다른 조건이 좋아보여서 매수를한다고 해보죠 


추세가 기준에 충족하지않기때문에. 예수금의 퍼센트를 30~50%이 아닌 5~10% 정도를 매수를 할수가 있게 되고,


만약 종목이 추세때문에 상승을 하지않고 하락을 하게되면 적은 예수금으로 매수를 했기때문에. 손해를 줄일수있게 되는거죠.


그럼 위의 사진에서 대파동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대 파동 추세의 흐름은 약하게 하락하며 흐르는 추세이지만. 저점과 고점의 위치로 봤을떄. 현재 바닥을찍고 다시 중간 근처로


상승하는 흐름이다. 라고 판단할수있게 되는것입니다.


이 관점을 익히시게되면, 좋은 추세에서는(=상승할 확률이 더 많은 추세에서는) 비중을 더 늘려서 매수를 하고,


나쁜추세에서는(=하락할확률이 더 많은 추세에서는) 비중을 더 줄여서 매수를 할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당연하게, 수익은 커지고, 손실은 줄어드는 2가지의 효과를 동시에 볼수있게되는거죠.



어떤 추세와, 파동을 기준점을 잡아서. 현재의 위치에 대한 판단을 하고. 그 판단에서 좋다고 판단되면 비중베팅을 하고,


좋지 않다고 판단이 되면, 소액베팅을 하는 매매방법입니다


쉽게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정배열에서는 비중을 늘리고(저항이없기때문에)  역배열에서는 비중을 줄여서(저항이많기떄문에) 매수를 하라는 겁니다.


베팅법중에 가장 기본중에 기본이며, 수익이 커질때는 한없이 커지고, 손실이 생기면 손실을 억제하는 매매법입니다.


다음편에 이어서 쓰겠습니다.

코스닥 지수가 전저점을 깨고 내려가고있습니다

 

2015년 8월 저점부근인 610부근까지 내려온 현재 613 부근입니다.

 

미국대선 힐러리 이메일 재수사와 트럼프가 당선됬을시에 세계증시가 어떻게 바뀔지모른다는 불안감의 악재가 첫번째이고

 

두번째로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악재가 두번째이고

 

세번째로 금리인상이 있겠습니다.

 

모든것이 복합적이게 작용하여 코스닥 증시를 내려앉히고 있습니다.

 

물론 저것은 다 이유일뿐입니다. 실상은 기관의 공매도입니다. 이유가있으면 하락시키고 돈을법니다.

 

상승모멘텀이 없으면 무조건 공매도를 누르는겁니다. 그러다가 상승이유가 나와야 매수를 시작합니다.

 

항상 상승장은 짧고 하락장은 깁니다. 기관은 계속해서 공매도로 돈을 벌어들일수있고, 개미들은 돈을 벌지못합니다

 

하락장이 지속되면서, 기존 주목받던테마 비트코인 - 한일네트웍스, 제이씨현시스템, 매커스 가 주목받고

 

금테마 - 엘컴텍, 정산애강, 나라케이아이씨 가 주목받는 상황이 나오고있습니다.

 

중장기적인관점으로 지수를 바라봤을시에 1차 610, 2차 590 지지받고 올라갈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단기적인관점에서는 하락은 불가피해보입니다. 이런장일수록 지수가 돌아나갈때를 대비해서 현금화를해두거나

 

1차 급등이후 조정을 받는 미래성장성이있는 테마군에 투자를 해둬야합니다.

 

새누리당은 비박,친박 관련해서 수없이 이슈를 만들어내고있고, 정치판은 소용돌이입니다.

 

이 상황에서도 우리가 지킬것은, 비중조절고 계좌관리라고 할수있겠습니다.

 

현재 코스닥은 rsi 과매도권입니다. 지수 차트에는 rsi가 잘맞는데요. rsi로 쌍바닥을 현재 그리는 상황입니다.

 

어찌될런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잘 헤쳐나가고 버텨야 하는 주식시장이 될것같습니다.

 

미리 악재들이 선반영됬다고 생각하시고, 잘 버텨나가봅시다.

 

 

지수는

 

가장 잘 맞는 보조지표가 rsi입니다

 

rsi 과매도권에 들어서면 단기반등이던 큰 반등이던 반등이 나오게되어있습니다.

 

현재 지수는 브렉시트날과 동일하게 바닥을 이루고있습니다.

 

rsi역시 과매도권이구요.

 

그렇다면 저 부분을 지지받고 올라선다는게 가장중요합니다.

 

 

코스닥이 급락하고있습니다.

기관 너무하네요...^^

현재

상승추세의 시작 마지막 추세선만 남아있습니다..

 

저길깨버리면 추세선은 없다고 봐야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