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술사입니다
어느덧 7월이 훌쩍 지나갔습니다.
최근에 몸이 많이 좋지않아서, 카페나, 유튜브 활동을 전혀 못하다시피 하고있습니다.
밖으로는 무더위에, 시장상황은 7월달이 최악이었죠 ^^
정말 무덥다 보니까, 감기도 걸렸다가, 더위도 먹었다가 그러고 있네요.
무더위에, 휴가철에, 좋지않은 시장상황과 경제지표가 현 상황을 말해주고있네요.
다들 계좌는 무탈하신지 모르겠네요.
7월달 모바일 무료리딩 남아있던 종목들중에 에이디칩스와 아이컴포넌트가 매도되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나머지 종목도 체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 지수에 대해서 먼저 얘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승파동이 끝나고 하락파동이 시작된지 두달째입니다.
지금 현재 코스닥은 하락파동 내에 속해있지만, 그 하락파동을 뛰어넘어 다시 상승으로 돌아설지,
아니면 다시 하락파동이 더 이어질지 기로에 서있습니다.
코스닥 지수를 보겠습니다.
현재 국면을 3개의 파동으로 구분해 보았습니다.
가장 큰 추세선이 대 파동 그다음 중간 추세선이 중 파동 가장 작은 추세선을 소 파동으로 부르겠습니다.
가장 큰 추세선을 보시게 되면 완만하게 하락하는 사각형을 만들고있는데요.2018년 1월, 그리고 현재 저점을 찍고
중간 지점까지 반등을 한 모습이 보이실텐데요.
고점은 4월과 6월 으로 추세선이 이어져있습니다. 대 파동의 관점으로 보았을때에 현재 지수는 바닥을찍고 상승하다가
중간즈음 와서 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입니다.
보기 편하시게 표시를 했습니다.
파동은 추세로 이해를 할수있는데요. 이 파동이, 이 추세가 현재. 하락했다가 바닥을 딛고 올라오는 과정인지,
상승했다가, 저항을 맞아서 내려오는 과정인지, 혹은 상승했다가 저항을 돌파하고 다시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형국인지를
현재 어떤 위치, 어떤 자리에 존재하고있다는것을 안다는것만으로도 포지션을 취하는데 유리해집니다.
포지션을 취한다는 의미는. 지금 구간이 강매수구간인지,약매수 구간인지 판단해야한다는겁니다. 매수를 하는데에 있어서,
자신이 가진 예수금의 몇퍼센트를 투자할지 정하고 매매를 해야한다는 겁니다. 지금 추세가 하락인데, 떨어질것이 뻔한데.
강매수 구간이라고 판단하고 자신이 가진 예수금의 30~50%를 매수를 하게되면. 불행중 다행이 아니라.
불행 중 불행이 되는겁니다.
파동과 추세를 이해를 하게 된다면,
추세가 하락인데, 다른 조건이 좋아보여서 매수를한다고 해보죠
추세가 기준에 충족하지않기때문에. 예수금의 퍼센트를 30~50%이 아닌 5~10% 정도를 매수를 할수가 있게 되고,
만약 종목이 추세때문에 상승을 하지않고 하락을 하게되면 적은 예수금으로 매수를 했기때문에. 손해를 줄일수있게 되는거죠.
그럼 위의 사진에서 대파동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대 파동 추세의 흐름은 약하게 하락하며 흐르는 추세이지만. 저점과 고점의 위치로 봤을떄. 현재 바닥을찍고 다시 중간 근처로
상승하는 흐름이다. 라고 판단할수있게 되는것입니다.
이 관점을 익히시게되면, 좋은 추세에서는(=상승할 확률이 더 많은 추세에서는) 비중을 더 늘려서 매수를 하고,
나쁜추세에서는(=하락할확률이 더 많은 추세에서는) 비중을 더 줄여서 매수를 할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당연하게, 수익은 커지고, 손실은 줄어드는 2가지의 효과를 동시에 볼수있게되는거죠.
어떤 추세와, 파동을 기준점을 잡아서. 현재의 위치에 대한 판단을 하고. 그 판단에서 좋다고 판단되면 비중베팅을 하고,
좋지 않다고 판단이 되면, 소액베팅을 하는 매매방법입니다
쉽게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정배열에서는 비중을 늘리고(저항이없기때문에) 역배열에서는 비중을 줄여서(저항이많기떄문에) 매수를 하라는 겁니다.
베팅법중에 가장 기본중에 기본이며, 수익이 커질때는 한없이 커지고, 손실이 생기면 손실을 억제하는 매매법입니다.
다음편에 이어서 쓰겠습니다.
'주식 > 지수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닥 지수를 추세와 파동으로 알아보자 2부 (0) | 2018.08.03 |
---|---|
11월 2일 코스닥 지수현황 (0) | 2016.11.02 |
코스닥 현재 지수 현황과 반등포인트 지지점 (2) | 2016.10.26 |
코스닥 급락합니다 현재 시황입니다. (0) | 2016.10.25 |